• Q) 4400명의 사람이 모였는데, 이들을 대상으로 20명씩 조를 만들려고 한다. 이 때 생성되는 조의 수는 몇 개인가?

    people=4400
    g_ea=20
    g_cnt=people/g_ea
    g_cnt
    

    220.0

  • Q) 4400명의 사람이 모였는데, 이들을 대상으로 30명씩 조를 만들려고 한다. 이 떄 생성되는 조의 수와 조에 편성이 안 되는 사람의 수는?

    people=4400
    g_ea=30
    g_cnt=people/g_ea
    print(g_cnt)
    g_no=people//g_ea
    g_left=people%g_ea
    print(g_no)
    print(g_left)
    
    146.66666666666666
    146
    20
    
  • Q) 국어 80점, 수학 55점, 영어 75점, 사회 80점 --> 이 사람의 평균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

    korean=int(input("국어 점수 입력하세요"))
    math=int(input("수학 점수 입력하세요"))
    english=int(input("영어 점수 입력하세요"))
    social=int(input("사회 점수 입력하세요"))
    avg=(korean+math+english+social)/4
    print("평균:", avg)
    
    국어 점수 입력하세요80
    수학 점수 입력하세요55
    영어 점수 입력하세요75
    사회 점수 입력하세요80
    평균: 72.5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라.

    a=int(input("수를 입력하세요"))
    if a%2==1:
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elif a%2==0:
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수를 입력하세요36
    짝수입니다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함수로 만들어보세요~ -> 바로 위의 문제에 대해서 함수로 만들어 보라는 의미임!

    def holsu(a):
        if a%2==1:
    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    elif a%2==0:
    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holsu(44)
    
    
    짝수입니다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라.

    a=int(input("수를 입력하세요"))
    if a%2==1:
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elif a%2==0:
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수를 입력하세요36
    짝수입니다
    
    def checkEO(num):
    if num % 2 == 0:
    return "짝수"
    elif num % 2 == 1:
    return "홀수"
    else:
    return "입력수를 체크하세요~~~~"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함수로 만들어보세요~ -> 바로 위의 문제에 대해서 함수로 만들어 보라는 의미임!

    def holsu(a):
        if a%2==1:
    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    elif a%2==0:
    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holsu(44)
    
    
    짝수입니다
    
  • Q) a = [1, 2, 3, 4,5]라는 리스트를 만들고, 여기에다가 append, insert를 활용하여 a= [1,2,"hello",4,5,"Hi","Monday"]를 만들어라

    a = [1, 2, 3, 4,5]
    a.extend(["Hi","Monday"])
    a
    

    [1, 2, 3, 4, 5, 'Hi', 'Monday']

    a = [1, 2, 3, 4,5]
    a.append("Hi")
    a.append("Monday")
    print(a)
    a.insert(2,"hello")
    a
    

    [1, 2, 3, 4, 5, 'Hi', 'Monday']

    [1, 2, 'hello', 3, 4, 5, 'Hi', 'Monday']

  • Q) 10을 2로 나눈 몫하고 210을 3으로 나눈 몫하고 같은지 비교하시오!

    10//2==210//3
    

    False
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라.

    a=int(input("수를 입력하세요"))
    if a%2==1:
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elif a%2==0:
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수를 입력하세요36
    짝수입니다
    
    def checkEO(num):
    if num % 2 == 0:
    return "짝수"
    elif num % 2 == 1:
    return "홀수"
    else:
    return "입력수를 체크하세요~~~~"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함수로 만들어보세요~ -> 바로 위의 문제에 대해서 함수로 만들어 보라는 의미임!

    def holsu(a):
        if a%2==1:
    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    elif a%2==0:
    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holsu(44)
    
    
    짝수입니다
    
  • Q) 주어진 수가 홀수인지, 아니면 짝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라.

    a=int(input("수를 입력하세요"))
    if a%2==1:
        print("홀수입니다")
    elif a%2==0:
        print("짝수입니다")
    
    수를 입력하세요36
    짝수입니다
    
    def checkEO(num):
    if num % 2 == 0:
    return "짝수"
    elif num % 2 == 1:
    return "홀수"
    else:
    return "입력수를 체크하세요~~~~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