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입 연산자 ‘=’
a=1
a에 1을 대입해라
비교 연산자
동등 연산자 : ==
영어로는 equal operator
좌항과 우항을 비교해서 서로 값이 같다면 true, 다르다면 false
같은 의미라면 true가 나옴 (1==”1” 은 true) → 아래 === 참
alert(1==2); //False
alert(2==2); //True
alert("one"=="two"); //False
alert("one"=="one"); //True
일치연산자: ===
영어로 strict equal operator
데이터 타입까지 완벽하게 일치해야 일치한다고 나옴
이고잉님은 가급적!!! ==동등연산자보다는 === 일치연산자 사용을 권고함
alert(1=='1'); //True
alert(1==='1'); //False
undefined (값이 정의되지 않았다.)
null (값이 없다.)
비교
alert(null == undefined); //true
alert(null === undefined); //false
동등연산자 == 가 보는 true
alert(true == 1); //true
alert(true === 1); //false
alert(true == '1'); //true
alert(true === '1'); //false
0 과 -0
alert(0=== -0); //true
NaN
alert(NaN === NaN); //false
===을 써야하는 이유
==은 예외가 너무 많다
크다
= 크거나 같다